남북조 시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북조 시대는 220년 한나라 멸망 이후 중국이 분열되어 북조와 남조로 나뉘어 각축전을 벌인 시기이다. 삼국 시대를 거쳐 서진이 통일했으나, 팔왕의 난과 오호 십육국 시대를 겪으며 쇠퇴했다. 이후 동진이 건국되었고, 북위가 북중국을 통일하면서 남북조 시대가 시작되었다. 남조에는 송, 제, 양, 진 네 왕조가 흥망했고, 북조는 북위가 동위, 서위로 분열된 후 북제, 북주로 이어졌다. 북주는 북제를 멸망시키고 화북을 통일했으나, 수 문제에 의해 멸망하고 수나라가 건국되면서 남북조 시대는 종결되었다. 이 시기 강남 지역의 개발이 이루어졌고, 불교와 현학, 문학, 예술 등이 발전했다. 남북조 시대는 중국, 한반도, 동아시아에 다양한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중국은 수나라의 통일 이후 당나라로 이어지는 기반을 마련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북조 시대 - 서위
서위는 535년 우문태가 북위 효무제를 독살하고 원보거를 옹립하여 건국되었으며, 우문태 사후 우문각이 북주를 건국하면서 멸망한, 짧은 기간 존재했던 북조 왕조로, 불교 미술의 융성기를 이루었으며, 군사력 강화에 힘썼다. - 남북조 시대 - 옥대신영
옥대신영은 약 115명의 시인(여성 시인 14명 포함)의 시를 모은 중국 시집으로, 주로 남녀 간의 사랑을 다루며 다양한 시대의 작품을 포함하고, 창작 배경에 대한 논쟁이 있지만 여러 판본을 통해 전해 내려오며 다양한 언어로 번역 및 연구되고 있다. - 중국의 역사 - 연호
연호는 군주의 권위와 통치권을 상징하며, 군주의 즉위와 함께 사용되는 칭호로, 고대 중국에서 시작되어 동아시아 국가들에 영향을 주었고, 현대에는 일본, 중화민국, 북한 등에서 사용된다. - 중국의 역사 - 관찰사
관찰사는 중국, 한국, 일본에서 지방 행정 감찰관직으로, 당나라 채방처치사에서 시작되어 관찰처치사로 개칭되며 명칭이 유래되었고, 한국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정착하여 각 도에 파견된 종2품 문관직으로 지방 행정 전반에 걸쳐 권한을 행사했다. - 중국사 - 순치
순치는 청나라 세조 순치제의 연호로, 1644년 명나라 멸망 후 베이징 천도와 함께 사용되어 1661년까지 지속되었으며, 당시 다양한 세력의 연호와 병존했다. - 중국사 - 광서제
광서제는 도광제의 손자이자 순친왕 혁현의 아들로, 1875년 청나라의 황제가 되었으며, 서태후의 섭정 아래 무술변법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유폐된 채 사망했다.
남북조 시대 | |
---|---|
지도 정보 | |
![]() | |
![]() | |
기본 정보 | |
중국어 | 南北朝 |
한어 병음 | Nán běi cháo |
통용 병음 | Nan2 pei3 ch'ao2 |
민난어 | Lâm-pak-tiâu |
광둥어 예일 | Naàhm Bāk Chìuh |
광둥어 발음 | naam4 bak1 ciu4 |
시기 | 420년 ~ 589년 |
역사적 배경 | |
선행 시대 | 진 |
후행 시대 | 수 |
주요 국가 | 유송 남제 양 진 북위 동위 서위 북제 북주 |
시대 구분 | |
북조 | 북위: 386년 ~ 535년 동위: 534년 ~ 550년 서위: 535년 ~ 557년 북제: 550년 ~ 577년 북주: 557년 ~ 581년 |
남조 | 유송: 420년 ~ 479년 남제: 479년 ~ 502년 양: 502년 ~ 557년 진: 557년 ~ 589년 |
기타 국가 | 서량: 555년 ~ 587년 |
2. 변천 과정
삼국 시대부터 남북조 시대까지를 통틀어 위진남북조 시대라고 한다.
이 시기, 화남에는 송, 제, 량, 진의 4개 왕조가 흥망했다. 이를 남조라고 부른다. 건강(건업)에 도읍을 둔 삼국 시대의 오, 동진과 남조의 4개 왕조를 합쳐 육조(륙조)라고 부르며, 이 시대를 삼국 시대부터 남북조 시대까지를 '''육조 시대'''라고도 한다.
이 시기, 강남(양쯔강 이남)의 개발이 빠르게 진행되어, 훗날 수나라와 당나라 시대에 강남은 중국 전체의 경제 기반이 되었다. 남조에서는 정치적 혼란과는 대조적으로 문학과 불교가 융성하여, 육조 문화라고 불리는 귀족 문화가 번영했고, 도연명과 왕희지 등이 활약했다.
화북에서는 선비탁발부가 세운 북위가 오호십육국 시대의 난세를 수습하고, 북방 기마 민족의 부족 제도를 해체하여 귀족 제도에 기반한 국가로 변모해 나갔다. 북위는 육진의 난을 거쳐 534년에 동위, 서위로 분열되었다. 동위는 550년에, 서위는 556년에 각각 북제, 북주에게 대체되었다. 577년, 북주는 북제를 멸망시켜 다시 화북을 통일한다. 그 후 581년에 수의 양견이 북주로부터 선양을 받아 황위에 올랐다. 589년, 수는 한족의 남조 진을 멸망시키고 중국을 재통일했다.
보통 북위, 동위, 서위, 북제, 북주의 5개 왕조를 북조라고 부르지만, 여기에 수를 포함시키는 설도 있다. 이연수의 『북사』가 수를 북조에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2. 1. 화북
220년, 중국을 통일했던 후한이 황건의 난과 오두미도의 반란 등으로 붕괴된 후, 중국은 삼국 시대로 통합되었다. 이 중 조위가 가장 강력했고, 그 뒤를 오와 촉한이 이었지만, 초기에는 비교적 안정적인 형태를 유지했다. 249년 가평릉 변 이후 사마의의 사마씨 가문이 사실상 조위를 장악했고, 조위의 촉한 정복이 곧 이어졌다.사마씨에 대한 조씨 가문의 쿠데타 시도가 실패한 후, 마지막 조씨 황제는 퇴위했다. 이후 사마염(진 무제)이 서진을 건국했고, 280년 서진의 오 정복이 이루어지면서 삼국 시대가 끝나고 중국이 다시 통일되었다.
서진은 291년부터 306년까지 일어난 팔왕의 난으로 심각하게 약화되었다. 진 회제와 진 민제의 통치 기간 동안, 오호 십육국 시대(오호 십육국)로 알려진 북방의 비한족 민족들의 봉기로 제국은 심각한 위험에 처했다. 수많은 유목 부족 집단들이 이전 세기 동안 북부와 북서부 중국에 강제로 이주당했다. 싸움을 벌이는 제후들이 이 부족들을 군대에 대거 징집하자, 그들은 반란을 일으켜 내전을 이용하여 권력을 장악했다.[2] 그들의 군대는 311년 영가의 난에서 낙양을 함락시키며 왕조를 거의 멸망시켰다. 장안도 316년에 비슷한 운명을 맞았다.
그러나 황실의 일원인 사마예(진 원제)는 회하 남쪽으로 도망쳐 동진으로 알려진 왕조를 재건했다. 남쪽에서 권력을 공고히 한 동진은 기존 건업(현재 남경)의 자리에 건강을 새로운 수도로 삼았다.
북쪽에서는 오호 십육국 시대에 수많은 단명 왕조들이 세워졌다. 결국 북위가 439년 북방의 다른 국가들을 정복하고 북중국을 통일했다. 동진과 그 뒤를 잇는 남조는 양자 강을 따라 해군 함대를 배치하여 북조로부터 잘 방어되었지만, 군사력 창출 및 유지와 관련된 여러 문제에 시달렸다. 균전제를 통해 특정 가구를 군사 복무에 지정하는 조정의 지정은 결국 그들의 사회적 지위를 떨어뜨려 병사들의 대규모 탈영을 초래했다. 병력 부족에 직면하여 동진 장군들은 종종 남쪽의 비한족 원주민들을 사로잡아 군대에 징집하기 위한 원정에 파견되었다. 그러나 동진은 외부 침략 때문에 멸망한 것이 아니라 유유(송 무제 유유)가 진 공제로부터 왕위를 빼앗아 송(유송)을 건국하면서 멸망했고, 이는 공식적으로 남북조 시대를 시작했다.
북조는 439년 북위가 북량을 정복하여 중국 북부를 통일한 때에 시작되어, 589년 수나라가 진나라를 멸망시킨 때에 끝났다. 북조는 북위, 동위와 서위, 북제와 북주로 나눌 수 있다. 북위, 동위, 서위와 북주는 선비족에 의해 건국되었고, 북제는 선비족의 영향을 받은 한족에 의해 건국되었다.
북쪽에서는 한족 지방 유력 가문들이 혼란에 대응하여 요새화된 마을을 건설했다. 가문들은 이러한 강력한 가족 중심의 자위 공동체로부터 사실상의 영지를 조각해 냈다. 소작농 가문들은 지배적인 가문을 위해 소작농이나 농노로 일했다. 북위 조정이 화하 정책을 시작하기 전까지 이 혼란은 한족 유력 가문들이 정부의 봉사를 피하게 만들었다. 따라서 북쪽의 유력 가문들은 남쪽의 세련된 유력 가문들에 비해 매우 군사화되었고, 이러한 차이는 수나라와 당나라 시대에도 수세기 동안 지속되었다.
2. 1. 1. 북위


십육국 시대, 선비족의 토발(Tuoba)씨는 대(Dai)국의 지배자였다. 전진(前秦)에 정복당했으나, 페이허 전투(Battle of Fei River)에서 전진이 패배하면서 붕괴되었다. 대(Dai)의 마지막 왕자 토발십일건(Tuoba Shiyijian)의 손자인 도무제(Emperor Daowu of Northern Wei, 토발귀 Tuoba Gui)는 토발 씨족의 운명을 회복시켜, 자신의 국가 이름을 위(Wei, 북위로 알려짐)로 바꾸고 수도를 승려(Shengle, 현재 후허하오터 부근)에 두었다. 도무제(토발귀), 명원제(Emperor Mingyuan of Northern Wei, 토발명원 Tuoba Mingyuan), 태무제(Emperor Taiwu of Northern Wei, 토발도 Tuoba Tao)의 통치하에 북위는 점차 세력을 확장했다. 초기 북위 국가의 건설과 경제는 최홍(Cui Hong)과 최호(Cui Hao) 부자의 공헌이 컸다. 토발귀는 후연(Later Yan)과 여러 차례 충돌했는데, 장건(Zhang Gun)의 도움으로 찬허(Canhe) 기슭 전투(Battle of Canhe Slope)에서 후연군을 격파한 후 승리로 돌아갔다. 이 승리 후, 토발귀는 후연의 수도 평성(Pingcheng, 현재의 대동)을 정복했다. 같은 해, 그는 스스로 도무제라 칭하였다.
도무제의 잔혹함으로 인해 그는 아들 토발소(Tuoba Shao)에게 살해되었지만, 태자 토발사(Tuoba Si)가 토발소를 물리치고 명원제로 즉위했다. 그는 유송(Liu Song)의 허난(Henan) 지역을 정복했지만, 얼마 후 죽었다. 명원제의 아들 토발도(Tuoba Tao)는 태무제로 즉위했다. 태무제의 활발한 활동으로 북위의 국력이 크게 신장하여 유송을 반복해서 공격할 수 있게 되었다. 북쪽의 유연(Rouran)의 위협을 제거한 후, 그는 중국 북부 통일을 위한 전쟁을 시작했다. 439년 북량(Northern Liang)이 함락되면서 태무제는 중국 북부를 통일하고 십육국 시대를 끝냈으며, 남쪽의 라이벌인 유송과 함께 남북조 시대를 열었다.
북위가 강력한 군사력을 가지고 있었지만, 북쪽의 유연의 침략으로 남쪽 원정에 집중할 수 없었다. 북방을 통일한 태무제는 강력한 산산(Shanshan) 왕국을 정복하고 서역(Xiyu, Western Regions)의 다른 왕국들을 복속시켰다. 450년, 태무제는 다시 유송을 공격하여 과부(Guabu, 현재 장쑤성 난징)에 이르렀고, 유송의 수도 건강(Jiankang)을 공격하기 위해 강을 건널 위협을 가했다. 그때까지 북위 군대가 유송 군대를 압도했지만, 큰 피해를 입었다. 북위 군대는 많은 가옥을 약탈하고 북쪽으로 돌아갔다.
이때 불교도 개오(Gai Wu, 蓋吳)가 반란을 일으켰다. 이 반란을 진압한 후, 태무제는 도교를 신봉하는 재상 최호(Cui Hao)의 건의를 받아들여 불교를 금지했다. 이는 오삼재(Three Disasters of Wu)로 알려진 중국 불교 박해의 첫 번째 사건이었다. 말년에 태무제는 잔혹한 형벌을 내렸고, 452년 환관 종애(Zong Ai)의 손에 죽었다. 그의 죽음은 혼란을 야기했고, 같은 해 말 문성제(Emperor Wencheng of Northern Wei)가 즉위하면서 끝이 났다. 왕우(Wang Yu, 王遇 (北魏)), 척력(Qiang) 출신의 궁중 환관이자 문명황태후(Empress Dowager Wenming)의 총애를 받던 인물은 불교를 후원했다. 그는 융안석굴(Yungang Grottoes) 중 가장 화려하게 장식된 제9-10굴을 건설했으며, 위서(Booke of Wei)에 따르면 그의 출생지인 풍의(Fengyi, 현재의 청청)의 리룬(Lirun)에 488년 사찰을 건립했다. 왕우는 446년 척족 반란 진압 당시 거세되었을 가능성이 있는데, 북위는 반란을 일으킨 부족의 젊은 엘리트들을 거세하는 관행이 있었기 때문이다.[4]
북위 초기, 중국 북부를 지배한 선비족 유목민들은 자신들과 한족 백성 사이에 엄격한 사회적 차별 정책을 유지했다. 한족들은 관료에 편입되어 세금 징수 등의 관리로 고용되었지만, 많은 고위직에서 배제되었다. 또한 그들은 권력 중심지에 소수를 차지했다.
하지만 북위 내부에서는 선비족의 풍습을 지키려는 세력과 선비족의 풍습을 버리고 한족화를 진행하려는 세력과의 다툼이 일어났다. 한족화를 진행시키려는 세력의 중심은 주로 한족 출신의 사람들이었다. 그들에게 한족화가 진행되면 자신들의 입장이 유리해지는 동시에 문화를 통해 이민족을 이기는 결과를 가져와 이민족의 지배를 받는 굴욕을 씻을 수 있는 일이기도 했다. 이 한족파의 대표는 한인인 최호였다. 최호는 외래 종교였던 불교를 배척하기 위해 도교 교단의 교조 구겸지와 손을 잡고 태무제에게 폐불(불교 탄압, 삼무일종의 폐불의 제일 첫 번째)을 주장하고 그 일을 실행시켰다. 또한 최호는 한인 관료들을 다수 등용하여 한족화를 추진하였으나, 강제적인 한족화는 선비족의 반감을 사서 450년에 주살되었다. 그 후 북위에서 태무제가 암살당해 한동안 혼란이 계속되었다.
이 혼란을 수습한 것이 문명황후였다. 문명황후는 제4대 황제인 문성제의 황후이자 제5대 황제인 헌문제의 적모(嫡母)로 466년 헌문제를 옹립해 수렴청정을 시작했다. 후에 헌문제에게 장남 탁발굉(훗날의 효문제)이 태어나자 잠시 물러났으나, 효문제의 생모를 죽인 일로 헌문제와 대립하여 헌문제를 폐위시키고 효문제를 옹립하였다. 북위에서는 외척의 횡포를 배제하기 위해 태자가 황위에 오르면 그 생모를 죽이는 것이 통례였다. 문명태황태후는 계속 수렴청정을 하면서 반록제, 삼장제, 균전제 등의 제도를 실시하여 중앙집권화와 한족화를 추진했다.
490년, 문명태황태후가 죽자 효문제의 친정(親政)이 시작되었지만, 정책은 그대로 유지·계승되었다. 493년, 효문제는 수도를 평성(平城, 지금의 산서성 대동시)에서 낙양으로 천도한 후, 대대적인 한화(漢化) 정책을 추진하였다. 그때까지 황실의 성씨였던 탁발씨를 원(元)씨로 고치고, 구품관인법을 부분적으로 채용하여 남조를 모방한 북조 귀족제도를 만들었다. 이에 반발한 일부 세력이 반란을 일으켰지만, 효문제의 시기에 모두 진압되었다. 하지만 효문제의 사후 반발이 더 거세져 523년 육진의 난이 일어나 전국적인 규모로 확대되어 북위 멸망의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육진은 예전 수도 평성 주변을 방위하던 6곳의 군사기지였는데, 이곳은 예로부터 선비족의 유력자가 배치되어 있었다. 그 때문에 매우 중요시되어 좋은 대우를 받았지만, 수도를 천도한 뒤 대우가 나빠지면서 주둔 군인의 불만이 쌓인 것이 직접적인 원인이었다.
반란이 일어나던 시기, 조정에서는 제8대 황제인 효명제와 생모 영태후 사이의 주도권 다툼이 일어나 528년 영태후가 효명제를 살해하여 혼란은 극에 달했다. 이를 진압한 것이 이주영이었다. 이주영은 육진의 난을 진압하고 효장제를 옹립한 뒤 권력을 휘둘렀으나, 효장제에 의해 살해되고, 효장제 또한 이주영 일족에게 살해당했다. 이 틈을 노려 이주영의 부하였던 고환이 이주영 일족을 척살하고 정권을 장악했다. 고환에 의해 옹립된 북위 최후의 황제 효무제는 고환의 전횡을 싫어해서 관중 일대에서 세력을 키운 군벌의 우두머리였던 우문태에게로 도망쳤다.
고환은 534년 효정제를 옹립하였고, 우문태도 효무제를 살해하고 535년 원보거를 옹립했다(문제). 534년을 기점으로 북위는 사실상 멸망했고, 북위는 동위와 서위로 분열하였다. 하지만 이것은 두 사람의 실력자가 제위를 받기 위한 준비 단계에 불과한 것이었다.
2. 1. 2. 북제
550년, 고양(문선제)이 동위 효정제로부터 선양을 받아 제나라를 건국했다. 남조의 제나라와 구별하기 위해 북제(北齊)라고 불렀다. 문선제는 초기에는 여러 개혁을 추진하고 북쪽의 돌궐과 거란을 격파하는 등 업적을 세웠으나, 후반기에는 북위의 황족이었던 원씨들을 무수히 많이 살해하는 등 폭정을 저질렀다.이후, 문선제의 동생 고연(효소제)이 문선제의 아들 고은(폐제)을 살해하고 즉위하였고, 효소제 사후 그의 동생인 고담(무성제)가 효소제의 아들 고백년을 살해하고 뒤를 이었다. 북제의 군주들은 주벽(酒癖)과 기행(奇行)이 많아 정치는 매우 혼란스러웠다. 다만 역대 군주는 주벽과 기행이 있는 동시에 군사적 재능이 풍부하여 북주에 대한 군사행동에는 호각 이상을 뛰어넘어 언제나 북주를 패퇴시켰다.
무성제는 즉위 후 얼마 안 가 아들 고위(후주)에게 제위를 물려주고 태상황제로서 정무를 살폈으나, 그 시대에는 황제와 개인적인 친분을 가진 총신들이 정치를 좌지우지하였다. 특히 후주는 주위의 참언(讒言)을 믿고 북제의 군사력을 지탱하던 곡률광과 난릉왕 두 사람을 살해하여 군사력을 약화시켰다.[5] 북주는 이 사건을 호기로 보고 북제를 침공해 후주를 사로잡은 뒤, 얼마 안 가 그에게 자결을 명령하였다. 북제는 577년에 멸망하였다.
2. 1. 3. 북주
우문태는 무천진 출신의 유력한 군벌로, 서위의 정권을 장악했다. 그는 북주, 수나라, 당나라 건국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 관롱집단의 기반을 마련했다. 우문태는 군사 조직을 개편하여 24군제를 창시했는데, 이는 훗날 부병제의 근간이 되었다.[18]또한, 우문태는 선비족 복고주의 정책을 추진하여 한화 정책 이전의 선비족 성씨를 복원시켰다. 그러나 동시에 《주례》를 바탕으로 중국 전통을 따르는 정책도 추진하여, 국호를 '주'로 정했다. 이러한 정책을 바탕으로 553년 양나라를 공격해 사천 지역을 빼앗고, 후경의 난에 개입하여 호북성 북부에 괴뢰 국가인 후량을 세워 남조에 타격을 주었다.[18]
556년 우문태가 사망한 후, 그의 조카 우문호가 권력을 장악하고 우문태의 셋째 아들 우문각을 옹립하여 북주를 건국했다. 우문호는 효민제(우문각), 명제(우문육), 무제(우문옹)를 차례로 옹립하며 권력을 행사했으나, 무제의 책략에 의해 주살되었다.[18]
572년 친정을 시작한 무제는 도교, 불교를 탄압하여 재산을 몰수하고 승려와 도사들을 병사로 징병했다. 한편, 유교, 불교, 도교를 아우르는 연구기관인 통도관을 설치하여 종교 간의 융합을 시도했다. 이를 '삼무일종의 폐불' 중 두 번째 사건이라고 한다.[18]
무제는 강화된 국력을 바탕으로 575년 북제를 공격하여 577년에 멸망시켰다. 이후 남조 진나라를 공격하려 했으나, 578년 친정 도중 사망했다.[18]
무제의 뒤를 이은 선제(우문윤)는 아버지의 엄격한 교육을 원망하며 방탕한 생활을 했다. 그는 즉위 다음 해에 아들 정제(우문연)에게 양위했으나, 정치적 혼란은 계속되었다. 결국 선제의 외척이자 12대장군 중 한 명이었던 양견이 581년 정제로부터 선양을 받아 수나라를 건국하면서 북주는 멸망했다.[18]
2. 2. 화남
삼국 시대부터 남북조 시대까지를 통틀어 위진남북조 시대라고 한다.이 시기, 화남에는 송, 제, 량, 진의 4개 왕조가 흥망했다. 이를 남조라고 부르며, 건강(건업)에 도읍을 둔 삼국 시대의 오, 동진과 남조의 4개 왕조를 합쳐 육조(륙조)라고 부른다. 이 시대를 삼국 시대부터 남북조 시대까지를 '''육조 시대'''라고도 한다.
이 시기, 강남(양자강 이남)의 개발이 빠르게 진행되어, 훗날 수나라와 당 시대에 강남은 중국 전체의 경제 기반이 되었다. 남조에서는 정치적 혼란과는 대조적으로 문학과 불교가 융성하여, 육조 문화라고 불리는 귀족 문화가 번영했고, 도연명과 왕희지 등이 활약했다.
진나라는 유송(420~479), 남제(南齊)(479~502), 양(502~557), 진(557~589) 등 여러 단명 왕조들에 의해 계승되었다. 이 왕조들은 모두 건강을 수도로 삼았으며, 양 무제(502~549)는 예술과 불교를 후원했던 주목할 만한 통치자였다.
마지막 진나라를 제외한 남조는 6세기 중반까지 정치 권력을 독점했던 사족(士族)의 지배를 강하게 받았다. 조조(曹操)가 한(漢)나라 말기에 자신의 권력을 강화하기 위해 전문 군인 계급을 구축하려 할 때 사족 계급이 만들어졌다. 그의 정책은 사마(司馬) 가문의 부상과 찬탈로 이어져 진나라를 세웠고, 그 후의 지도자들도 다른 대가문들을 통제하지 못했다.[23] 진나라가 남쪽으로 이동하면서 중앙 정부의 약화가 심해졌고, 황제를 따라 남쪽으로 이동한 대가문들과 저장(浙江) 해안에 정착한 부유한 가문들이 동진의 주요 권력 중개자가 되었다. 혈통 증명이 중요해지면서 족보 편찬이 증가했고, 대가문들은 평민 가문과의 혼인을 법적으로 금지했다. 하층 북방 이주민들은 대가문의 "객(客)"(의존자)이 되도록 강요받았고, 대가문들은 사병을 조직했다. 동진이 대가문의 의존자들을 징집하려 하자 궁정은 곧 붕괴되었다.[24]
420년 동진의 멸망과 함께 권력 균형은 중앙 정부에 유리하게 기울었다. 유송, 제, 양, 진 왕조들은 낮은 사회적 배경을 가진 군 지도자들에 의해 통치되었다. 그들은 점차 강력한 가문들의 군사력, 권위, 부를 빼앗았다. 황제들은 전국에 걸쳐 지역 군대를 황실 친척들의 지휘하에 주둔시켰고, 겸손한 배경을 가진 장교들을 모집했으며, 최고위직의 엘리트들을 감시하기 위해 하급 관리들을 임명했다. 5세기 중반 인도양 무역의 성장과 함께 남부 귀족들은 쇠퇴했고, 이는 궁정 수입이 무역으로 전환되고 진나라 시대에 사족 계급이 사라지는 결과를 가져왔다.[25] 토지 소유 귀족들은 자신의 토지 생산물을 현금으로 전환할 수 없었기에, 무역의 부활과 화폐 경제는 그들이 토지를 분할하여 신흥 상인 계급에게 판매하도록 강요했다. 영향력 있는 상인들은 점점 정치 직책을 차지하여 옛 귀족들을 대체했다. 반면에 경제적 발전은 인플레이션에 대처하거나 현금으로 세금을 낼 수 없는 농민들이 용병이 되어 전국을 돌아다니며 전쟁 중인 제후들에게 자신의 봉사를 팔고 백성을 약탈하도록 만들었다. 이러한 격변은 남쪽을 황폐화시켜 수나라에 의한 남쪽의 멸망을 쉽게 했다.
원주민 추장들은 강제로 정복당하는 대신 지배적인 중국 구조에 적응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예를 들어, 양나라 궁정의 주지사 풍보(馮寶)와 결혼한 원주민 추장 선 부인은 자치권과 지역 문화를 보존하면서 왕조의 권위를 확장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선 부인과 풍보는 진백선(陳霸先)의 부상과 양, 진, 수 왕조 사이의 지역 안정화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궁정은 그녀에게 공식 직함과 권력의 상징을 수여함으로써 그녀의 권위를 인정했다.[26] 광주(廣州)와 현대 베트남 사이에는 원주민과 중국화된 문화의 혼합된 특징을 보여주는 혼혈 출신의 많은 다른 지역 추장들이 있었는데, 흠주(欽州)의 녕(寧), 귀주(桂州)-등주(藤州)의 이(李), 쌍주(雙州)의 진(陳) 등이 그러했다. 이 가문들은 원주민들에게는 추장으로, 궁정에게는 관료로 기능했다.[27]
국가명 | 시조 | 존속기간 |
---|---|---|
송 (宋) | 유유 (劉裕) | 420년 - 479년 |
제 (斉) | 소도성 (蕭道成) | 479년 - 502년 |
양 (梁) | 소연 (蕭衍) | 502년 - 557년 |
진 (陳) | 진파선 (陳霸先) | 558년 - 589년 |
2. 2. 1. 송 (남조)
420년, 유유가 동진의 마지막 황제인 공제로부터 선양을 받아 송나라를 건국하였다. 건국 직후, 북쪽은 북위가 화북 통일에 매진하고 있었기에 남쪽은 평화로워 제3대 황제인 문제의 30년에 가까운 치세는 원가의 치(元嘉之治)라고 찬양받을 정도로 선정의 시대로 명성이 높았다. 그러나 한편 동진 때부터 진행된 귀족 세력의 강화는 황제도 귀족을 거스를 수 없는 사태를 불러왔다. 이 귀족 제도에서 소외된 한인(寒人)이라 불리는 계층은 황제와 황족의 편에 서서 권력을 얻으려고 준비했다.[23][24]문제는 453년 황태자 유소에게 살해당한다. 이 반역자들을 무찌르고 즉위한 이가 효무제다. 효무제는 귀족 세력의 억제를 노려 세제의 개혁과 한인층의 등용을 추진했다. 하지만 효무제 사후 피비린내 나는 권력 쟁탈전이 일어났다. 특히 제6대 황제인 명제는 친족 28명을 살해하고, 신하도 의심하여 다수를 살해하는 등의 폭정을 일삼아 송나라 쇠퇴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다.[25]
2. 2. 2. 제 (남조)
명제의 뒤를 이은 후폐제를 살해하고 순제를 옹립한 소도성은, 선양을 받아 제나라를 건국했다.[19] 소도성의 뒤를 이은 제2대 황제 무제는 여러 차례 북위를 공격했으나, 패배했다.[20] 무제 사후 후계자 쟁탈전이 벌어져 소도성의 조카 소란(명제)이 즉위했으나, 그 사이 북위에게 산동을 포함한 회하 이북을 빼앗겼다.[21] 이후 소보권(동혼후)이 즉위했으나, 극단적인 측근 정치를 하며 명제 시대의 중신들을 살해하여 정치를 어지럽혔다.[22] 이에 반발하여 반란이 여러 번 일어났고, 500년 소연(훗날의 양 무제)이 일으킨 반란은 동혼후의 동생 소보융(화제)을 옹립해 건강으로 진군하여 그곳을 포위하였고, 다음 해 동혼후는 부하에게 살해당했다.[22]2. 2. 3. 양 (남조)
502년 소연(양 무제)이 화제로부터 선양을 받아 양나라를 건국하였다. 무제는 범운, 심약(《송서》 편찬자) 등을 등용하여 인재를 모으고, 구품관인법 등 기존 제도를 개혁했다. 조세를 경감하고 새로운 양률과 양령을 제정했으며, 문화에도 조예가 깊어 남조 문화의 최전성기로 꼽힌다. 특히 무제의 장남 소명태자가 편찬한 《문선》은 명저로 평가받는다.그러나 치세 후반 무제는 불교에 심취하여 여러 번 사찰에 투신하였고, 신하들은 그때마다 거액을 들여 무제를 데려왔다. 이는 국가 재정을 악화시켰다.
548년 동위의 후경이 귀순을 요청했으나, 무제는 출병했다가 패배하고 동위와 화해하려 했다. 이에 후경은 548년 군사를 일으켜 건강을 함락하고 무제를 굶겨 죽였다(후경의 난).
무제 사후 3남 소강(간문제)이 즉위했으나, 후경은 551년 소동을 옹립했다가 폐위하고 제위에 올라 국호를 '''한'''(漢)이라 했다. 각지 왕들이 황제를 자칭하며 자립한 가운데, 무제의 8남 소역은 왕승변을 파견해 후경을 죽이고 강릉에서 즉위했다(원제). 원제는 552년 촉에서 황제를 칭한 동생 소기를 격파했다.
554년 소찰이 끌어들인 서위의 대군에 원제가 패배해 죽고, 소찰은 강릉에서 황제가 되었다. 이 정권은 후량이라 하지만, 서위의 괴뢰정권이었다.
원제 사후 왕승변과 진패선은 원제의 9남 소방지를 옹립했으나, 북제가 개입해 소연명을 보냈다. 왕승변은 소연명을 옹립하려 했으나, 진패선은 소방지를 옹립했다. 결국 진패선이 승리하여 소방지가 경제로 옹립되었다.
2. 2. 4. 진 (남조)
557년 진패선은 선양을 받아 진나라를 건국하였다(무제). 하지만 건국 당시 진나라는 촉 지역과 강릉을 중심으로 한 형주 북부를 빼앗겼고, 국내에는 반대 세력이 남아 있었다. 진패선은 반대 세력을 진압하다 559년에 사망했고, 그의 조카 진천(문제)이 황제 자리에 올랐다.문제는 무제의 정책을 이어받아 국내 반대 세력을 제압하였다. 566년 문제가 죽자, 그의 동생 진욱(선제)이 문제의 아들 진백종(폐제)을 살해하고 황제가 되었다. 선제는 북주와 함께 북제를 공격하여 회남 지역을 획득하였다.
그러나 북제를 멸망시킨 북주에게 진나라 군대가 패배하면서 회남을 다시 잃었다. 582년 진숙보(후주)가 즉위한 후 정치를 멀리하고 향락에 빠져, 통일 왕조 수나라의 등장이 가까워졌다.[19]
2. 3. 수나라
581년에 북주의 외척 양견이 선양을 받아 수나라를 건국하고 문제로 즉위했다. 문제는 중국 통일을 위해 남쪽의 진나라를 침략할 계획을 세웠다.[1] 그는 고융의 건의를 받아들여 진나라의 농지를 전소시켜 국력을 약화시키는 전략을 사용했다.[1]588년, 문제는 아들 양광을 파견하여 진나라를 공격했다.[1] 589년, 수나라 군대는 진나라의 수도 건강을 함락시켰고, 진 후주는 우물에 숨었다가 사로잡혀 진나라는 멸망했다.[1] 이로써 서진(西晋)이 멸망한 지 273년 만에, 수는 중국을 재통일했다.[2]
3. 외교 관계
남북조 시대에는 여러 국가들이 중국 대륙을 중심으로 복잡한 외교 관계를 맺고 있었다. 특히, 한반도의 고구려, 백제, 신라는 생존과 발전을 위해 남조와 북조 모두와 교류하며 독자적인 외교 전략을 펼쳤다.[30]
유송이 돌궐, 고구려, 토욕혼 등과 동맹을 맺어 북위를 격파하려 했으나 실패한 이후, 남북조는 서로를 암묵적으로 동등하게 인정하는 분위기가 형성되었다. 이는 서로에게 최고의 지위를 부여하는 사절을 파견하는 등의 외교 관행에서 나타났다.[30] 『위서』와 『송서』의 기록처럼, 서로를 정통성이 없는 오랑캐로 비난하는 대신, '북방'과 '남방'이라는 서로 다른 지역적 특성을 가진 평행선으로 여기며 정통성을 경쟁하는 새로운 개념이 등장했다.[31]
이 시기, 중국 남부(양자강 이남)로 한족(Han Chinese)이 대규모로 이주한 것이 처음으로 기록되었다. 이러한 중국화 과정은 이전에는 고립된 공동체들이 광활한 미개척지와 한족 이외의 다른 민족 집단들로 분리되어 있던 남부 지역을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다. 이 시대 동안 남부 지역은 거의 변방에 불과했으나, 후대에 번영하고 도시화되고 중국화된 지역이 되는 길을 걷게 되었다. 아서 F. 라이트(Arthur F. Wright)는 그의 저서 「중국사에서의 불교(Buddhism in Chinese History)」에서 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 "혼란의 시대 양자강 유역 이남 지역에 대해 이야기할 때, 우리는 최근 몇 세기 동안 인구 밀도가 높고 집약적으로 경작된 중국 남부의 모습을 마음속에서 지워야 합니다. 4세기 초 진 왕조의 잔여 세력 귀족들이 남경 지역으로 도망쳤을 때, 남부 지역의 인구는 중국 전체 인구의 10분의 1 정도에 불과했습니다. 중국 문화와 행정의 중심지가 있었지만, 이들 대부분 주변에는 중국 정착민들이 이동하기 어려웠던 광활한 미개척 지역이 펼쳐져 있었습니다." [32]
남북조 시대에 양자강 유역은 중국 인구의 25% 미만의 변방 지역에서 중국 인구의 40%를 차지하는 주요 문화 중심지로 변모했다. 그리고 이후 중국이 당나라에 통일된 후에는 중국 문화의 핵심 지역이 되었다.
삼국 시대부터 남북조 시대까지를 통틀어 위진남북조 시대라고도 한다.
왜국은 5세기에 남조와 교류했으나, 6세기에 들어 남조와의 관계는 502년 기록을 마지막으로 단절된다. 고구려는 남북조 모두에 사신을 파견했으나, 북조와의 교류 빈도가 높아졌다. 백제·신라도 6세기 후반에는 북조를 중시하여 북조와 교류하게 된다
3. 1. 남북조와 한반도 국가들과의 관계
420년, 유유가 동진의 마지막 황제인 공제로부터 선양을 받아 송나라를 건국하면서 남북조 시대가 시작되었다.[30] 고구려, 백제, 신라는 각기 다른 시기에 남조, 북조와 외교 관계를 맺었다.고구려고구려는 남조와 북조 모두와 관계를 맺었다. 장수왕은 435년 북위에 사신을 보내고, 466년에는 남조 송에 사신을 보내는 등 양면 외교를 펼쳤다. 고구려는 북위와 송 사이의 갈등을 이용하여 실리를 추구했다.
백제백제는 초기에 남조와 긴밀한 관계를 맺었다. 개로왕은 472년 북위에 사신을 보내 고구려를 공격해 줄 것을 요청했지만, 북위는 이를 거절했다. 이후 백제는 남조와의 관계를 강화했다. 동성왕은 484년 남조 제에 사신을 보내고, 무령왕은 502년 양나라에 사신을 보내는 등 남조와의 교류를 활발히 했다.
신라신라는 564년 북제에 사신을 보내 처음으로 중국 왕조와 외교 관계를 맺었다. 신라는 고구려와 백제의 압박을 받는 상황에서 북조와의 관계를 통해 돌파구를 찾으려 했다.
평가고구려, 백제, 신라는 남북조 시대의 복잡한 국제 정세 속에서 생존과 발전을 위해 주체적인 외교를 펼쳤다. 특히 고구려는 남조와 북조 모두와 관계를 맺는 양면 외교를 통해 실리를 추구했으며, 이는 당시 고구려의 뛰어난 외교 역량을 보여준다. 백제는 남조와의 관계를 통해 선진 문물을 수용하고 국가 발전을 도모했다. 신라는 북조와의 관계를 통해 고구려와 백제의 압박에서 벗어나고자 했다. 이러한 한반도 국가들의 주체적인 외교 전략은 오늘날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4. 사회와 문화
이 시기, 강남(양자강 이남)의 개발이 본격화되어, 훗날 수와 당 시대에 강남은 중국 전체의 경제 기반이 되었다. 남조에서는 정치적 혼란과는 대조적으로 문학과 불교가 융성하여, 육조 문화라고 불리는 귀족 문화가 번영했고, 도연명과 왕희지 등이 활약했다.
삼국 시대부터 남북조 시대까지를 통틀어 위진남북조 시대라고도 한다.
화남에는 송, 제, 량, 진의 4개 왕조가 흥망했다. 이를 남조라고 부른다. 마찬가지로 건강(건업)에 도읍을 둔 삼국 시대의 오, 동진과 남조의 4개 왕조를 합쳐 육조(륙조)라고 부르며, 이 시대를 삼국 시대부터 남북조 시대까지를 '''육조 시대'''라고도 한다.
화북에서는 선비탁발부가 세운 북위가 오호십육국 시대의 난세를 수습하고, 북방 기마 민족의 부족 제도를 해체하여 귀족 제도에 기반한 국가로 변모해 나가고 있었다. 북위는 육진의 난을 거쳐 534년에 동위, 서위로 분열되었다. 550년 동위는 북제에게, 556년 서위는 북주에게 각각 대체되었다. 577년, 북주는 북제를 멸망시켜 다시 화북을 통일한다. 그 후 581년에 수의 양견이 북주로부터 선양을 받아 황위에 올랐다. 589년, 수는 한족의 남조 진을 멸망시키고 중국을 재통일했다.
보통 북위, 동위, 서위, 북제, 북주의 5개 왕조를 북조라고 부르지만, 여기에 수를 포함시키는 설도 있다. 이연수의 『북사』가 수를 북조에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북조의 국가들과 존속 기간은 다음과 같다.
국가명 | 시조 | 존속 기간 |
---|---|---|
북위 (北魏) | 도무제(拓跋珪) | 386년 - 534년 |
동위 (東魏) | 효정제(元善見) | 534년 - 550년 |
서위 (西魏) | 문제(元宝炬) | 535년 - 556년 |
북주 (北周) | 효민제(宇文覚) | 556년 - 581년 |
북제 (北斉) | 문선제(高洋) | 550년 - 577년 |
4. 1. 사회 구조
남북조 시대에는 귀족 제도가 강하게 유지되었으며, 사회는 여러 계층으로 나뉘었다.후한이 멸망하고 삼국 시대를 거쳐 서진이 중국을 통일했으나, 팔왕의 난과 북방 민족들의 봉기로 인해 혼란이 이어졌다. 사마예가 회하 남쪽으로 도망쳐 동진을 건국하면서, 북쪽은 오호 십육국 시대로 접어들었다.
북쪽에서는 한족 지방 유력 가문들이 요새화된 마을을 건설하고, 소작농들을 농노로 삼아 사실상의 영지를 구축했다. 이들은 북위 조정의 화하 정책 이전까지 정부 관직을 피하며 군사력을 강화했다. 이러한 북쪽 유력 가문들은 남쪽의 세련된 귀족들에 비해 훨씬 군사화되었으며, 이러한 차이는 수나라와 당나라 시대까지 이어졌다.
북위 초기에는 선비족 유목민들이 한족 백성들과 엄격한 사회적 차별 정책을 유지했다. 한족들은 세금 징수 등의 관리로 고용되었지만, 고위직에서는 배제되었고 권력 중심지에서도 소수였다.
효문제 때 북중국에서는 대대적인 사회·문화적 변혁이 일어났다. 그는 선비족과 한족의 이중 정체성을 주장하며 자신의 씨족 이름을 "원(元)"으로 바꾸고, 한화(漢化) 정책을 시행했다. 이 정책에는 한족 의복 착용, 한족 언어 학습, 선비족 성씨를 한자로 변경, 고위 선비족과 한족 가문 간의 혼인 장려 등이 포함되었다. 또한 수도를 낙양(洛陽)으로 옮기고, 선비족과 북방 무사들을 남쪽으로 이동시켜 복무하게 했다.
480년대부터 북위는 한족 엘리트들이 선비족 토발(Tuoba) 황실의 딸들과 결혼하도록 주선했다.[5] 북위의 토발 선비족 공주 중 50% 이상이 남조(南朝)의 황실과 귀족 가문 출신으로 북위에 귀순하여 북쪽으로 이주한 남쪽 한족 남성들과 결혼했다.[6] 유송(劉宋) 왕족인 유휘(劉輝)는 북위의 남릉공주(蘭陵公主)와 결혼했고,[7][8][9][10][11][12][13] 화양공주(華陽公主)는 진(晉) 왕족의 후손인 사마비(司馬朏)와, 제남공주(濟南公主)는 노도건(盧道虔)과, 남양장공주(南陽長公主)는 남제(南齊) 왕족인 소보인(蕭寶寅)과 결혼했다.[14] 효장제의 누이인 수양공주(壽陽公主)는 양 무제(梁武帝)의 아들 소종(蕭綜)과 결혼했다.[15] 주서(周書)에 따르면, 효무제의 누이는 한족인 장환(張煥), 장굉(張瓊)의 아들과 결혼했다.[16] 동진(東晉)이 멸망하자 북위는 진(晉)의 왕자 사마추지(司馬楚之)를 망명자로 받아들였고, 그는 북위 공주와 결혼했다. 그의 아들 사마진룡(司馬金龍)은 북량(北涼) 흉노 왕 주거목건의 딸과 결혼했다.[17]
남조에서는 유송, 남제(南齊), 양, 진 왕조들이 이어졌다. 이 왕조들은 모두 건강(建康)을 수도로 삼았으며, 마지막 진나라를 제외하고는 사족(士族)의 지배를 강하게 받았다. 사족은 조조(曹操)가 한(漢)나라 말기에 권력을 강화하기 위해 만든 군인 계급에서 비롯되었으며, 사마의 가문의 진나라 건국 이후에도 대가문들을 통제하지 못했다.[23]
동진 시대에는 대가문들과 이주민들이 주요 권력 중개자였으며, 족보 편찬이 증가하고 평민과의 혼인이 법적으로 금지되었다. 하층 북방 이주민들은 대가문의 "객(客)"(의존자)이 되어 사병으로 조직되었다. 동진이 이들을 징집하려 하자 궁정은 붕괴되었다.[24]
그러나 유송 건국 이후 권력 균형은 중앙 정부에 유리하게 기울었다. 황제들은 지역 군대를 황실 친척들의 지휘하에 주둔시키고, 겸손한 배경을 가진 장교들을 모집했으며, 하급 관리들을 임명하여 엘리트들을 감시했다. 5세기 중반 인도양 무역의 성장과 함께 남부 귀족들은 쇠퇴했고, 진나라 시대에는 계급이 사라졌다.[25]
토지 소유 귀족들은 토지 생산물을 현금으로 전환할 수 없었기 때문에, 무역의 부활과 화폐 경제는 그들이 토지를 분할하여 신흥 상인 계급에게 판매하도록 강요했다. 영향력 있는 상인들은 점점 정치 직책을 차지하여 옛 귀족들을 대체했다. 반면에 경제적 발전은 인플레이션에 대처하거나 현금으로 세금을 낼 수 없는 농민들이 용병이 되어 전국을 돌아다니며 백성을 약탈하도록 만들었다. 이러한 격변은 남쪽을 황폐화시켜 수(隋)나라에 의한 남쪽의 멸망을 용이하게 했다.
유송의 무제는 귀족들의 권력이 너무 크다고 생각하여 하층민을 정부 요직에 임명하고 황족들에게 군권을 부여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황족들이 군사력을 강화하고 정치적 권력을 얻으려 하자, 무제는 그들이 황위를 찬탈할까 두려워 자주 황족들을 죽였다.
효무제는 친족 살해와 근친상간을 저질렀다고 알려져 있으며, 그의 삼촌인 향동왕 유여는 그를 암살하고 명제가 되었다. 명제는 효무제의 모든 후손을 죽이고 의심 많은 성격으로 인해 많은 주를 잃었다.
남제(南齊)의 명제는 정부 서기관들을 이용하여 고제와 무제의 모든 아들들을 학살했다.
4. 2. 문화
진 시대에는 유교의 영향력이 크게 약화되었고, 이는 남북조 시대에 이르러 정치 사상과 철학의 다양화로 이어졌다. 이 시대에는 조조, 제갈량 등 실용적인 통치와 행정 시스템을 주장한 인물들이 등장했다. 많은 학자와 시인들이 사회로부터 멀리 떨어져 은둔 생활을 하는 산중 은자가 되었다.[34]시, 서예, 회화, 음악 등 중국 예술은 이 시대에 새로운 경지에 도달했다. 조조의 아들 조식은 당대 최고의 시인 중 한 명으로, 그의 문체와 감정 표현은 도연명에게 영향을 미쳤다. "서예의 성인" 왕희지의 서예는 개인적 표현의 한 형태로 간주되었다. 구개지와 같은 화가들은 중국화에서 풍경화의 전통을 확립했다.
남쪽의 교육 기관들은 명성이 높았는데, 그중에는 조충지가 공부했던 종명관이 있다. 조충지는 465년에 새로운 대명력을 고안하여 1년을 365.24281481일로 계산하고, 태양과 달의 겹침 횟수를 27.21223으로 계산하여 23년 동안 4번의 일식을 예측했다.
4. 2. 1. 불교

남북조 시대 중국에서는 불교와 도교가 번성하였으며, 특히 도교의 경우 상청파와 영보파를 위한 새로운 경전이 창작되는 등 풍부한 문화적 성취를 이루었다. 남중국인들은 불교 승려 혜원의 저술에 큰 영향을 받았는데, 혜원은 도교 용어를 사용하여 불교를 설명함으로써 중국인들의 이해를 도왔다. 또한 중국은 인도를 비롯하여 푸난, 참파 등 남쪽의 무역 국가들과 교류하며 문화적 영향을 주고받았다.[34]
이전 시대에도 망루나 주거용 아파트와 같은 다층 건물이 존재했지만,[38] 남북조 시대에는 스투파에서 진화한 독특한 중국식 탑이 등장하여 불경을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이는 고대 인도의 불교 전통에서 경전을 보호하던 것에서 유래하였다.
4. 2. 2. 도교
진 시대에는 유교의 영향력이 크게 약화되었고, 이는 남북조 시대에 이르러 정치 사상과 철학의 다양화로 이어졌다. 이 시대에는 현학(玄學, Xuánxué)과 같은 다양한 사상이 등장했다. 현학은 남조 시대에 매우 큰 영향력을 행사하여 유송문제가 현학 아카데미를 설립하고 유교, 문학, 역사와 함께 4대 연구 과목으로 장려하기까지 했다. "청담"(清談, Qīng tán)으로 알려진 현상이 일반화되었는데, 교육받은 남성들이 하루 종일 철학에 대해 이야기하며 직업이나 가족과 같은 "세속적인" 일에는 전혀 신경 쓰지 않았다. 이러한 현상은 수나라 시대에 점차 감소했지만, 당나라까지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았다.[35]남북조 시대에는 불교와 도교가 번성하였다. 특히 도교의 경우, 상청파(Shangqing School)와 그 경쟁 세력인 영보파(Lingbao School)를 위해 새로운 두 종류의 경전이 창작되었다. 남중국인들은 불교 승려 혜원의 저술에서 큰 영향을 받았는데, 혜원은 친숙한 도교 용어를 사용하여 다른 중국인들에게 불교를 설명했다.
4. 2. 3. 문학
남북조 시대의 문학은 남조와 북조에서 서로 다른 특징을 보이며 발전했다. 남조의 문학은 화려하고 장식적인 경향이 강했던 반면, 북조의 문학은 비교적 투박하고 직선적인 특징을 보였다.남조에서는 별문(駢文)이라 알려진 산문 형식이 유행했는데, 이는 운율(韻律)을 맞추고 화려한 언어와 고전 인용구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었다. 글의 내용은 주로 일상에서 벗어나 근심과 걱정을 버리는 것에 관한 것이 많았다. 시가에서는 부가 여전히 주요 장르였으나, 당나라 시대에 전성기를 맞이한 5언시가 점차 인기를 얻기 시작했다.
북조의 주목할 만한 작가로는 유신(庾信), 형방, 위수(魏收), 원자생(文子昇) 등이 있다.
남북조 시대 시인들은 고대 중국의 고전 시인들을 모방하며 시 작문에 사용되는 운율과 음보를 형식화하는 데 힘썼다. 그러나 학자들은 시경과 같은 고대 노래와 시가 오랜 세월 동안 음운 변화를 겪으면서 더 이상 운율이 맞지 않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후한 말기에 시작되어 당나라까지 이어진 불교의 중국 전래는 중국 학자들에게 산스크리트어를 접하게 했다. 정교한 음운론적 체계를 갖춘 브라마 문자는 5세기에 중국에 들어왔고, 혜령운(謝靈運)은 산스크리트어 용어를 중국어로 음역한 사전(현재는 소실됨)을 만들기도 했다.[36]
중국 중세어의 사성은 심약(沈約)과 주옹에 의해 처음으로 기술되었다.[37]
4. 2. 4. 예술
남북조 시대에는 유교의 영향력이 약화되고 정치 사상과 철학이 다양해졌다. 조조, 제갈량 등 실용적인 통치와 행정 시스템을 주장한 인물들이 등장했다. 많은 학자와 시인들은 산속에서 은둔 생활을 하는 은자가 되었으며, 현학(玄學, Xuánxué)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유송문제는 현학 아카데미를 설립하고 유교, 문학, 역사와 함께 4대 연구 과목으로 장려했다. 교육받은 남성들이 철학에 대해 이야기하는 "청담"(清談, Qīng tán) 현상이 일반화되었다.[34][35]불교와 도교가 번성하였으며, 특히 도교에서는 상청파(Shangqing School)와 영보파(Lingbao School)를 위한 새로운 경전이 창작되었다. 남중국인들은 불교 승려 혜원의 저술에 큰 영향을 받았는데, 그는 도교 용어를 사용하여 불교를 설명했다. 중국은 인도, 푸난, 참파 등과 교류하며 문화적 영향을 받았다.
시, 서예, 회화, 음악 등 중국 예술은 새로운 경지에 도달했다. 조식은 당대 최고의 시인 중 한 명으로, 그의 문체와 감정 표현은 도잠에게 영향을 미쳤다. "서예의 성인" 왕희지의 서예는 진정한 개인적 표현의 한 형태로 간주되었다. 구개지와 같은 화가들은 중국화에서 풍경화의 전통을 확립했다.
종명관을 포함한 남쪽의 교육 기관들은 명성이 높았다. 조충지는 종명관에서 공부하며 465년에 새로운 대명력을 고안하여 1년을 365.24281481일로 계산하고, 태양과 달의 겹침 횟수를 27.21223으로 계산하여 23년 동안 4번의 일식을 예측했다.
이 시대에는 불경을 보관하기 위한 독특한 중국식 탑이 스투파에서 진화했다.[38]
5. 의의와 영향
위진남북조 시대는 중국 역사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전체 역사에 큰 영향을 미친 시기였다.
삼국 시대부터 남북조 시대까지를 통틀어 위진남북조 시대라고도 하며, 이 시기 화남에는 송, 제, 량, 진의 4개 왕조가 흥망했다. 이를 남조라고 부른다. 마찬가지로 건강(건업)에 도읍을 둔 삼국 시대의 오, 동진과 남조의 4개 왕조를 합쳐 육조(륙조)라고 부르며, 이 시대를 '''육조 시대'''라고도 한다.
이 시기, 강남(양자강 이남)의 개발이 일거에 진행되어, 후대의 수나라나 당나라 시대에 강남은 중국 전체의 경제 기반이 되었다. 남조에서는 정치적 혼란과는 대조적으로 문학과 불교가 융성하여, 육조 문화라고 불리는 귀족 문화가 번영했고, 도연명과 왕희지 등이 활약했다.
선비 탁발부가 세운 북위는 오호십육국 시대의 난세를 수습하고, 북방 기마 민족의 부족 제도를 해체하여 귀족 제도에 기반한 국가로 변모해 나갔다. 북위는 육진의 난을 거쳐 534년에 동위, 서위로 분열되었다. 동위는 550년에, 서위는 556년에 각각 북제, 북주에게 대체되었다. 577년, 북주는 북제를 멸망시켜 다시 화북을 통일한다. 그 후 581년에 수나라의 양견이 북주로부터 선양을 받아 황위에 올랐다. 589년, 수는 한족의 남조 진을 멸망시키고 중국을 재통일했다.
보통 북위, 동위, 서위, 북제, 북주의 5개 왕조를 북조라고 부르지만, 여기에 수를 포함시키는 설도 있다. 이연수의 『북사』가 수를 북조에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시기에는 중국 내에서 다양한 민족과 문화가 융합되었으며, 이는 훗날 수나라와 당나라의 건국에 큰 영향을 주었다.[22] 또한, 불교, 유교, 도교 등 다양한 사상과 종교가 한반도에 전래되어 한국 사회와 문화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5. 1. 중국사에 미친 영향
수 문제는 화북을 통일한 북주를 대신해 정권을 잡은 후, 통일을 위한 준비를 착실히 진행했다. 북쪽의 돌궐에 대비해 만리장성을 보수하고, 장강에 버려진 운하를 정비하여 보급로를 확보했다. 또한 괴뢰국가였던 후량을 멸망시켜 직할령으로 만들었다. 588년, 수 문제는 차남 양광(훗날의 수 양제)을 총대장으로 삼아 51만 8천 명의 대군을 보내, 589년 진나라의 수도 건강을 함락시키고 우물 속에 숨어 있던 진 후주를 사로잡아 진나라를 멸망시켰다.[2] 이로써 서진 멸망 이후 273년간, 서진의 짧은 통일 기간을 제외하면 400년 가까이 지속된 중국의 분열 시대가 끝나고 재통일이 이루어졌다.수나라의 통일은 수 양제 시대에 잠시 무너졌지만, 오랜 분열 시대에 형성된 통일에 대한 열망은 중국이 다시 분열되는 것을 원치 않았다. 그 뒤를 이은 당나라는 약 300년간 지속되었다. 이러한 통일 왕조들의 성립에는 북조의 역할이 컸다.
혼합 문화와 혼합 민족 군벌 가문으로 구성된 북조의 핵심 엘리트는 훗날 수나라와 당나라의 건국 엘리트를 형성했다.[22] 이들은 유목민에 대해 유연한 접근 방식을 취하며, 그들을 적이 아닌 잠재적인 파트너로 보았다.
5. 2. 한반도에 미친 영향
남북조 시대는 중국 역사에서 혼란과 분열의 시기였지만, 이 시기의 문화적 교류는 한반도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불교, 유교, 도교 등 다양한 사상과 종교가 한반도에 전래되어 한국 사회와 문화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불교의 전래와 발전: 남북조 시대에는 불교가 크게 융성했는데, 이 시기 한반도의 삼국은 중국 남북조와 활발하게 교류하며 불교를 적극적으로 수용했다. 고구려는 북위로부터, 백제는 동진과 양나라로부터 불교를 받아들여 국가적 차원에서 장려했다. 신라는 고구려를 통해 불교를 수용하였다. 삼국은 불교를 통해 국가 이념을 강화하고 왕권 중심의 중앙 집권 체제를 확립하는 데 기여했다. 또한, 불교는 삼국의 건축, 조각, 회화 등 예술 분야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 유교의 영향: 남북조 시대에는 유교 역시 중요한 사상으로 자리 잡았다. 한반도의 삼국은 유교를 통해 통치 이념과 윤리 규범을 확립하고, 교육 제도를 정비했다. 특히, 유교는 국가 운영과 관료 제도, 가족 제도 등 사회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쳤다.
- 도교의 전래: 남북조 시대에는 도교 역시 한반도에 전래되었다. 도교는 민간 신앙과 결합하여 한국인의 종교 의식과 세계관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도교는 산신 신앙, 신선 사상 등 한국 고유의 민간 신앙과 결합하여 독특한 형태로 발전했다.
이처럼 남북조 시대의 문화적 교류는 한반도에 다양한 사상과 종교를 전래하여 한국 사회와 문화 발전에 중요한 밑거름이 되었다.
5. 3. 동아시아에 미친 영향
남북조 시대의 문화는 동아시아 각국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한족(漢族)이 양쯔강 이남으로 대규모 이주하면서 중국 남부 지역이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전에는 고립된 공동체들이 흩어져 있던 미개척지가 개발되고, 한족 이외의 다른 민족 집단들과 융합되면서 중국화가 진행되었다. 4세기 초, 진(晉)나라 귀족들이 난징(南京) 지역으로 도망쳤을 때 남부 지역 인구는 중국 전체 인구의 10분의 1에 불과했지만, 남북조 시대를 거치면서 양쯔강 유역은 중국 인구의 40%를 차지하는 주요 문화 중심지로 성장했다.[32] 이는 훗날 당나라 시대에 중국 문화의 핵심 지역으로 발전하는 기반이 되었다.참조
[1]
서적
The Dynasties of China: A History
https://archive.org/[...]
Carroll & Graf
[2]
서적
A History of Chinese Civilization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3]
서적
Six Dynasties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07-01-01
[4]
서적
China: Dawn of a Golden Age, 200-750 AD
https://books.googl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04
[5]
서적
Marriage and Inequality in Chinese Societ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6]
A dissertation presented by Qiaomei Tang to The Department of East Asian Languages and Civilizations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Doctor of Philosophy in the subject of East Asian Languages and Civilizations
Divorce and the Divorced Woman in Early Medieval China (First through Sixth Century)
https://dash.harvard[...]
Harvard University
2016-05-01
[7]
저널
[8]
서적
Papers on Far Eastern History
https://books.googl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Far Eastern History.
[9]
서적
Women in Early Medieval China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8
[10]
서적
Women in Imperial China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6
[11]
서적
Early Medieval China: A Sourcebook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4
[12]
서적
Papers on Far Eastern History, Volumes 27–30
https://books.googl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Far Eastern History.
1983
[13]
저널
Slaves and Other Comparable Social Groups During The Northern Dynasties (386-618)
https://www.jstor.or[...]
Harvard-Yenching Institute
1953
[14]
서적
China: Dawn of a Golden Age, 200–750 AD
https://books.google[...]
Metropolitan Museum of Art
[15]
서적
Ancient and Early Medieval Chinese Literature (vol.3 & 4): A Reference Guide, Part Three & Four
https://books.google[...]
BRILL
2014-09-22
[16]
서적
Good Son is Sad If He Hears the Name of His Father: The Tabooing of Names in China as a Way of Implementing Social Valu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7
[17]
서적
China: Dawn of a Golden Age, 200–750 AD
https://books.google[...]
Metropolitan Museum of Art
[18]
서적
A History of Chinese Civilization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19]
서적
China's Cosmopolitan Empire The Tang Dynasty
Harvard University Press
2012
[20]
서적
Political Frontiers, Ethnic Boundaries and Human Geographies in Chinese History
Routledge
2005
[21]
서적
Six Dynasties Civilization
Yale University Press
2007-01-01
[22]
서적
Ethnic Identity in Tang Chin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1
[23]
서적
A History of Chinese Civilization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24]
서적
A History of Chinese Civilization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25]
서적
A History of Chinese Civilization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26]
서적
Chieftains Into Ancestors Imperial Expansion and Indigenous Society in Southwest China
UBC Press
2013
[27]
서적
The People between the Rivers: The Rise and Fall of a Bronze Drum Culture, 200-750 CE
Rowman & Littlefield
2016
[28]
서적
Cultural Convergence in the Northern Qi Period: A Flamboyant Chinese Ceramic Container : a Research Monograph
https://books.googl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07
[29]
저널
Teng-Hsien: An Important Six Dynasties Tomb
https://www.jstor.or[...]
1980
[30]
서적
China's Northern Wei Dynasty, 386-535: The Struggle for Legitimacy
Routledge
2020
[31]
저널
The Metageography of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https://www.jstor.or[...]
[32]
서적
Buddhism in Chinese History
Stanford University Press
[33]
서적
The Jiankang Empire in Chinese and World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2020
[34]
서적
Wei-Jin-Nan-Bei Chao de Xueshu yu Xinyang 魏晋南北朝的学术与信仰
[35]
서적
[36]
논문
Chinese traditional phonology
[37]
서적
A Handbook of Old Chinese Phonology
Mouton de Gruyter
[38]
웹사이트
Art Gallery NSW
http://collection.a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